‘종이의 집’ 원작에 없는 한국적 요소, 극과 극 평가
넷플릭스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파트1 원작과의 차별점은 하회탈 뿐? 유일한 분단국가, 남과 북 갈등과 화합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 파트1′(이하 종이의 집)을 향한 눈빛이 싸늘하다. 유명 원작 리메이크 작품인 만큼 비교 대상이 되리라 예상했지만 한국 시청자들은 냉정했다.
“원작과 리메이크 작품이 다른 건 하회탈뿐!”
‘종이의 집’은 ‘교수’라고 불리는 인물이 범죄자들을 모아 스페인의 조폐국을 터는 내용이다. 범죄를 진두지휘하는 교수와, 협상을 이끌어가고 사건을 수사하는 경감의 치열한 두뇌 게임, 인질극 속에 녹아 있는 다양한 관계의 서사들이 원작의 관전 포인트였다. 스페인 원작 ‘종이의 집’은 시즌5까지 제작될 정도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렸다.
한국판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지구상의 유일한 분단국가라는 특징을 녹였다.’공동경제구역’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원작에는 없던 남북한 통일 설정을 부여했다. 북한이 경제 개방을 선언하고 남북통일을 위한 경제 통일 때문에 새로운 화폐를 찍어냈다는 게 한국판의 배경 서사다. 남북한 ‘공동경제구역’ 설정이 그저 배경이 아니라 구성원들도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으로 뒤섞여 있어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냈다.
남북한의 생활방식 만큼 사고방식의 차이가 갈등을 야기했다. 우선 일당의 리더에 따라 인질 관리하는 방식이 달라졌다. 북한 수용소에서 30년 넘게 수감생활을 하고 나온 베를린(박해수 분)은 강압적이며 무력에 의한 공포정치를 실현했다.
반면 교수(유지태 분)은 여론전을 중시하며 안으로는 인질을 통제하고 밖에서는 경찰의 발을 묶었다. 여기에 불평등과 빈부의 극화 같은 사회적 문제를 통해 국민정서를 유리한 쪽으로 끌고오려 했다. 조폐국 털이는 일종의 ‘카타르시스’ 선사다. 인질에서 사상자가 나오는 걸 원하지 않는 인물이다.
극과 극 성향의 두 사람 만큼 외부에서도 대립이 생겼다. 바로 경찰 측 협상전문가 선우진(김윤진 분)과 북한 특수요원 출신 협상가 차무혁(김성오 분)의 갈등이다. 우진은 인질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협상 방안을 구상하지만, 무혁은 무력진압을 통한 빠른 해결을 원했다.
인질들 또한 남북 출신에 따라 다른 태도를 보였다. 남한 국장(박명훈 분)은 제 살길만 도모했지만, 북한 출신 부국장은 인질들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국장의 행동을 막아섰다. ‘통일’ 설정 아래 벌어지는 남북한 인물들의 거리감은 정서적으로 분리된 시간 만큼 통일이 어렵다는 점을 실제적으로 나타낸다.
파트1에서는 갈등을 겪고 남북한이 조금씩 협동하는 이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남북으로 갈린 경계는 리더, 경찰, 인질 등의 다양한 모습을 통해 확장된다. 단순히 보이는 것을 넘어 화합을 이룰 수 있다고 말하는 것처럼 말이다.
원작과는 다른 한국 버전의 ‘종이의 집.’그 괴리감에서 오는 실망스러운 기분과 익숙함에서 오는 근본적인 ‘노잼’ 분위기가 혹평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하회탈을 비롯해 한국 리메이크이기에 가능한 요소들은 분명 우리의 문화 콘텐츠를 녹여내며 한국 버전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