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OTT 총결산-상반기①] 팬데믹에 울고 웃은 OTT 업계

2022년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업계의 키워드는 ‘성장’이다. <오징어게임>(2021)에서 시작된 K-콘텐츠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국내 시장은 활기를 띠었다. OTT 오리지널 작품을 포함해 전체 콘텐츠 제작 수가 늘었고, 그만큼 투자 금액도 높아졌다.

그러나 엔데믹 시대의 도래와 함께 비대면 문화를 선도하던 OTT는 성장 침체기에 들어섰고, 본격적인 생존 경쟁에 돌입했다. 특히 세계 시장 진출의 타이밍을 놓친 토종 OTT 플랫폼은 국내 지분 싸움과 더불어 해외 진출 방안을 모색하며 엄청난 투자를 감행했다.

생존을 위한 전략모색은 해외 OTT도 마찬가지다. 업계 1위인 넷플릭스는 코로나19 이후 구독자 감소세를 보였고, 호기롭게 한국에 진출한 디즈니+와 애플TV+는 그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위기를 맞이한 이들은 요금 인상 및 광고 요금제 도입 등 변화를 시도했다.

콘텐츠산업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면서 올해 정부 부처와 업계, 학회에서는 OTT 관련 포럼, 세미나, 학술 대회 등을 개최하며 국내 시장 안정을 위한 논의를 이어갔다. 이제 정점에 도달한 OTT 산업의 1년간의 이슈를 살펴보고, 올 한해를 빛낸 작품 BEST3와 배우를 선정해 활약상을 되짚어본다.

사진=넷플릭스

상반기(1~6월) 업계 이슈

◆ ‘넷플릭스 천하’ 끝나나? 본격 구독자 감소
승승장구하던 글로벌 최대 OTT 넷플릭스가 올해 사업 11년 만에 처음으로 구독자 감소를 맞았다. 구독료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넷플릭스의 부진을 초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넷플릭스는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하는 의미로 러시아 현지 서비스를 중단하며 약 70만 회원을 잃었다.

지난해 말 2022년 1분기 약 250만 명의 구독자가 증가할 것이라던 예상했던 넷플릭스의 전망은 크게 빗나갔고, 회사의 주가는 폭락을 거듭했다. 넷플릭스는 앞서 언급된 이유 외에도 계정 공유가 활발한 점을 구독자 감소의 원인으로 꼽아 눈길을 끌었다. 1분기 기준 유료 회원으로 등록된 약 2억 2천만 명 외에 지인의 계정을 통해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람이 약 1억 명으로 추산된다는 주장이었다.

1분기에 20만 명, 2분기에 97만 명의 가입자를 잃은 넷플릭스는 10년 넘게 지켜온 원칙을 스스로 깼다. 광고를 도입하고 계정 공유에도 칼을 꺼내 든 것. 이후 하반기 다시 가입자가 늘며 분위기는 달라졌지만, 광고 요금제 출시에 이어 계정 공유 단속에도 박차를 가하며 넷플릭스의 생존 경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 토종 OTT 연이은 요금 인상, 인앱결제 이슈까지
3월과 4월, 토종 OTT들이 연이어 요금을 인상했다. 티빙은 베이직, 스탠다드, 프리미엄 구독료를 각각 1,100원, 1,600원, 2,100원 인상했고 웨이브는 각각 1,400원, 2,000원, 2,600원 인상했다. 쿠팡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쿠팡의 유료 멤버십은 2,900원에서 4,990원으로 크게 올랐다.

국내 OTT의 연이은 요금 인상 이면에는 구글의 일방적 횡포가 있었다. 요금 인상 당시 한 OTT 업계 관계자는 “구글이 인앱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업체들에 연간 매출 100만 달러까지는 15%, 해당 금액 초과분에 대해서는 30%의 수수료율을 적용하기로 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모든 비용을 소비자의 부담으로 떠넘긴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고, 이에 OTT 기업들은 안드로이드 앱 결제 대신 PC 또는 모바일 웹을 통한 결제 금액을 낮추며 일종의 우회 경로를 안내했다. 하지만 그 절차의 복잡성 때문에 적지 않은 이용자가 손해를 감수하며 인앱 결제를 유지했고, 부담을 느낌 이용자들은 플랫폼을 떠나기도 했다.

이후 정부가 나서 ‘구글 갑질 방지법(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등 제재에 나섰지만 구글의 횡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국내 OTT들의 줄지은 요금 인상은 구글의 좋은 시험대가 됐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이용자들이 떠안았다.

◆ 거리두기 전면 해제, OTT 성장 적신호
올해 4월, 정부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정점을 지났다고 판단했다. 오랜 시간 지속했던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한 것. 산업 전반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들썩였지만, OTT 업계만큼은 예외였다. 팬데믹과 함께 성장한 OTT 시장이 정체기에 돌입한 순간이었다.

실제 4월 주요 OTT 이용자는 1월과 비교해 최대 23%까지 감소했다. 데이터 분석업체 모바일인덱스는 OTT 앱 사용량을 토대로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가장 적은 이용자 감소를 기록한 OTT는 넷플릭스로, 1월 1,241만 명에서 4월 1,153만 명으로 7.1% 감소를 기록했다. 이어 티빙이 7.7% 감소(418만 명→386만 명), 웨이브 11.9% 감소(492만 명→433만 명), 왓챠 12.6%(129만 명→112만 명) 등 순이었다. 가장 많은 감소를 기록한 곳은 디즈니+(200만 명→153만 명)와 쿠팡플레이(367만 명→302만 명)로, 두 OTT 모두 23.7%의 모바일 이용자를 잃었다.

시장 침체에도 비교적 소폭의 감소를 기록한 OTT들의 선방에는 오리지널 콘텐츠가 있었다. 넷플릭스는 상반기 <지금 우리 학교는>, <소년심판> 등을 연이어 선보이며 이용자들을 끌어모았고, 티빙은 이효리의 서울 생활을 관찰한 리얼리티 <서울체크인>으로 시장을 공략했다. 반면 가장 큰 구독자 손실을 기록한 디즈니+는 오리지널 <그리드>, <사운드트랙 #1> 등을 선보였지만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뒀다.

이처럼 시장 침체의 위기 속에서 국내외 OTT들은 오리지널 콘텐츠 파워를 실감했고, 이는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오리지널 콘텐츠 대격돌로 이어졌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