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가 ‘회당 10억원’ 받는 세계, OTT 콘텐츠 출연료 높은 이유는?

TV에선 1억원 중반, OTT에선 3억원? OTT 콘텐츠 출연 배우 몸값 ‘천정부지’ ‘몸값 흥정’ 불필요한 수익 배분 구조·신디케이션 기회 유무의 차이 최소 2억 명 시청자 버티는 글로벌 OTT 시장, 스케일 차이가 몸값 차이 불렀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스틸컷/사진=넷플릭스

OTT 플랫폼 오리지널 콘텐츠에 출연하는 배우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배우 이정재가 넷플릭스 드ㅡ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2’ 출연료로 편당 약 10억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보도가 나오는가 하면, 배우 김수현은 쿠팡플레이 시리즈 <어느 날> 출연 당시 회당 5억원의 출연료를 받으며 화제가 됐다.

업계에서는 수익 배분 구조, 신디케이션 수익 등을 출연료 차이의 원인으로 지목한다. TV 드라마·영화와 OTT 오리지널 콘텐츠의 정산 구조 차이, 배우의 재상영분배금 수익 유무 등이 출연료의 차이를 결정짓는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유통 구조 및 시장 규모의 차이에 따라 출연료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OTT 콘텐츠 제작사, 굳이 몸값 깎을 이유 없다?

최근 OTT 오리지널 콘텐츠의 제작비는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총제작비는 약 200억원으로 편당 12억원이 조금 넘는다. 글로벌 흥행에 성공한 <오징어게임>의 편당 제작비는 28억원을 호가하지만, 이마저도 해외에서는 ‘가성비 콘텐츠’라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디즈니+ 시리즈 <무빙>의 편당 제작비 역시 회당 25억원에 달한다.

제작비 상승의 주요 원인은 배우의 출연료다. 같은 스타라 해도 지상파나 케이블 채널 드라마 출연료와 OTT 작품 출연료는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례로 올 초 인기리에 종영한 한 TV 드라마에서 편당 1억원 중반대의 출연료를 받았던 모 남자 배우는 최근 OTT 공개가 유력한 작품을 논의하며 3억원에 달하는 편당 출연료를 제시했다. 방영 플랫폼이 바뀌었다는 이유만으로 몸값이 두 배로 뛴 것이다.

이같이 출연료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플랫폼마다 수익을 배분하는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영화 및 TV 드라마의 경우 최대한 제작비를 낮춰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OTT의 경우 상황이 조금 다르다. ‘글로벌 공룡’인 넷플릭스로 예를 들자면, 넷플릭스는 제작비의 일정 비율을 제작사에 수익으로 제공한다. 즉 제작사들은 순제작비가 높으면 오히려 넷플릭스로부터 정산받는 금액이 늘어난다.

이때 가장 높이기 쉬운 것이 배우의 출연료다. 제작사가 굳이 제작비를 낮추기 위해 배우들과 출연료 흥정을 벌일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에 더해 스타 배우들이 출연해 흥행에 성공할 경우 넷플릭스와의 다음 작품 계약 역시 따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스타 캐스팅을 위해 웃돈을 주는 경우마저 있다고 전해진다.

높은 몸값, ‘신디케이션’ 기회의 보상인가

OTT 콘텐츠 출연료에 ‘재상영분배금’이 포함됐다는 시각도 있다. TV 시리즈 드라마는 먼저 본방송이 송출된 이후 ‘신디케이션’을 거친다. 신디케이션은 흔히 말하는 ‘재방송’을 일컫는 용어로, 제작사에서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개별 독립 방송국에 콘텐츠를 납품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동안 작가, 배우 등 창작진은 신디케이션과 2차 판권 시장(DVD, 블루레이 판매) 등을 통해 본방송 외 재상영분배금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하지만 OTT 콘텐츠에 출연할 경우 재상영분배금 수익이 사라지게 된다. 대다수 플랫폼은 오리지널 콘텐츠에 출연한 배우에게 일부분 추가 수익을 얹어주는 조건으로 출연자가 모든 권리를 포기하는 계약을 체결한다. 심지어 아예 IP 소유권이 제작사가 아닌 통째로 OTT 플랫폼으로 넘어가 버리는 경우도 많다. 실제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 플랫폼의 경우, 제작비 급증 등으로 자금난에 시달리는 국내 제작사들의 IP를 저렴하게 흡수하며 덩치를 불려가고 있다.

시장 스케일 차이가 원인이라는 분석도

유통 구조의 차이로 인해 배우들의 몸값이 뛰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주로 우리나라 국민을 타깃으로 삼는 TV 드라마와 글로벌 OTT 시청자를 타깃으로 한 오리지널 시리즈는 애초 ‘스케일’ 자체가 다르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수는 2022년 기준 5,163만 명에 그치는 만큼, 국내 드라마 시장 역시 그다지 크지 않은 편이다. 시청률 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1주일(08.21~08.27) 시청률 1위였던 KBS2 주말 드라마 <진짜가 나타났다>의 시청자 수는 약 389만 명이었다.

반면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팍스 어소시에이츠는 미국 OTT 가입자 수가 2021년 2.30억 명에서 2026년 2.77억 명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OTT 시장은 국내 TV 시장과 달리 ‘억’ 단위의 시청자가 도사리는 거대 시장인 셈이다. 글로벌 시장 1위 플랫폼인 넷플릭스는 2023년 1분기 기준 2억3,25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뒤쫓는 디즈니 플러스가 1억5,780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 중이다. 애초 국내 TV 드라마 시장과 OTT 시장은 유통 구조 및 규모가 다른 만큼, 배우의 출연료 역시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