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OTT 총결산-하반기①] 스트림플레이션 시대, 영향력 확대하는 OTT 업계

2023 하반기 OTT 업계 이슈
구독료 인상→합병, 수익 위한 ‘생존’ 전략
고물가에도 몸집 키우는 OTT 업계
23하반기총결산1
2023년 OTT 업계 키워드는 ‘생존’이다. 올해 국내외 OTT 업계는 계속되는 시장의 침체 속에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다방면으로 모색하며 수익 개선의 활로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당초 올해 초부터 예견되어 왔던 넷플릭스 계정 공유 유료화가 시작됐고, 디즈니+는 요금제 개편을 통해 기존 멤버십 기능을 갖춘 요금을 올렸다. 티빙 또한 요금을 20%씩 올리며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이했다.

OTT 플랫폼들의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자, 각 플랫폼에선 소비자들의 마음을 붙잡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킬러 콘텐츠’ 공급을 택했다. 넷플릭스는 물량 공세로 쉴 틈이 없게 만들었고, 디즈니+는 제작비 650억원의 대작 <무빙>을 비롯해 <최악의 악>, <비질란테> 등으로 ‘K-히어로’ 계보를 이었다. 또한 티빙과 웨이브는 영화제 초청작들을 등에 업었고, 스포츠 중계에 심혈을 기울이던 쿠팡플레이는 <소년시대>를 공개하며 연말을 웃음으로 물들였다.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 지난 6개월간 OTT 업계의 이슈를 살펴보고 올해 하반기를 빛낸 작품 BEST3와 배우를 선정해 활약상을 되짚어 본다.

하반기(7~12월) OTT 업계 이슈

23하반기총결산1 1

◆ 계정 공유 유료화-구독료 인상, 줄줄이 오르는 OTT 물가

2023년 하반기에는 OTT 플랫폼들의 잇따른 가격 인상이 큰 화제로 떠올랐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유료화로 시작된 OTT 물가 상승이 디즈니+와 티빙 구독료 인상으로 이어지며 OTT 업계에도 고물가 시대가 찾아온 것. 이에 ‘스트림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스트림플레이션은 스트리밍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다.

먼저 넷플릭스는 한집에 살지 않는 사람과 계정을 함께 쓰는 사람들에게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계정 공유 유료화를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월 9,500원이던 베이식 멤버십 신규 구독 접수를 막았다. 멤버십 구독료가 오르진 않았지만, 광고 없이 시청하기 위해서는 최소 월 1만3,500원을 내야 하는 등 사실상 구독료를 인상한 것.

또한 디즈니+는 국내에서 광고 없이 시청 가능한 요금제인 프리미엄 요금제를 월 9,900원에서 1만3,900원으로 4,000원 인상했고, 티빙은 이달부터 모든 요금을 20%씩 인상, 기존 월 1만3,900원이던 프리미엄 요금을 1만7,000원으로 올렸다. 스트림플레이션에 유튜브도 가세했다. 2020년에 이어 3년 만에 가격 인상을 단행한 유튜브는 멤버십인 프리미엄 가격을 기존 월 1만450원에서 1만4,900원으로 올렸다.

넷플릭스를 비롯해 디즈니+, 티빙, 유튜브 등의 구독료 인상은 콘텐츠 투자비의 증가와 수익성 개선을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이어지는 스트림플레이션에 구독자들의 불만도 커졌다. 고물가 시대가 계속되는 시점에 OTT 구독료까지 20~40% 이상 오르며 이용자들의 부담이 증가한 것. 구독자들은 “다 같이 가격이 오르니 타격이 크다”, “플랫폼 하나당 1만원 이상을 내야 하니 부담스럽다”, “대부분의 OTT를 구독하고 있었는데, 한두 개만 남겨두고 구독을 해지하려 한다”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냈다.

23하반기총결산1 2_20231228
사진=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 청룡시리즈어워즈, 대종상영화제

◆ 트렌드 따르는 영화제, OTT 시리즈 부문 신설

OTT의 위상이 달라졌다. 최근 수많은 영화제 등 시상식에서 OTT 섹션을 신설하며 혁신을 추구한 것. 최근 몇 년 새 공룡 OTT인 넷플릭스를 비롯해 디즈니+ 등 글로벌 OTT와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등 토종 OTT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됨에 따라 트렌드를 따르며 OTT 부문까지 범위를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2년 처음으로 개최된 OTT 시상식 청룡시리즈어워즈에 이어 지난 7월 19일에는 제2회 청룡시리즈어워즈가 개최됐다. 청룡시리즈어워즈는 과거 지상파 콘텐츠의 영역으로만 여겨졌던 대형 시상식을 OTT 콘텐츠에 시도한 국내 최초의 OTT 시상식.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 등 토종 OTT는 물론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 등 글로벌 OTT 콘텐츠를 모두 포함한다.

이날 진행된 행사에서 대상은 넷플릭스 <더 글로리>의 송혜교에게 돌아갔으며,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은 디즈니+ <카지노>, 예능·교양 부문 최우수 작품상은 넷플릭스 <사이렌: 불의 섬>이 차지했다. 또한 넷플릭스 <수리남>의 하정우와 쿠팡플레이 <안나>의 수지가 드라마 부문 주연상의 영예를 안았고, 디즈니+ <카지노>의 이동휘와 <더 글로리>의 임지연이 드라마 부문 조연상을 품에 안았다. 예능·교양 부문 예능인상은 카카오페이지 <플레이유 레벨업: 빌런이 사는 세상>의 유재석과 쿠팡플레이 <SNL 코리아>의 주현영에게 돌아갔다.

또한 지난 10월 개최된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BIFF)에서는 ‘2023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Asia Contents Awards & Global OTT Awards, ACA & GOA)가 개최됐다. 2023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는 전 세계의 우수한 TV·OTT·온라인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 콘텐츠 시상식으로, 2019년 부산국제영화제 내에서 신설된 아시아컨텐츠어워즈와 국제OTT축제가 협력해 새롭게 선보인 시상식이다.

제1회 2023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에서 최고상의 영예는 디즈니+ <무빙>에 돌아갔다. 이날 <무빙>은 베스트크리에이티브상을 비롯해 작가상(강풀), 남자 주연 배우상(류승룡), 남자 신인상(이정하), 여자 신인상(고윤정), 베스트 디지털 VFX 작품상 등 6관왕을 차지했다. 또한 <무빙>의 대항마로 꼽혔던 넷플릭스 오리지널 <더 글로리>는 여우조연상(임지연)을 차지했으며, 웨이브 <약한영웅 Class1>과 넷플릭스 <피지컬: 100>, 티빙 <환승연애2>, 웨이브 <박하경 여행기> 등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시상식인 대종상영화제도 OTT 부문을 신설했다. 대종상영화제는 한국 영화 산업을 발전시키고 한국 영화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됐지만, 그간 배우 협박 논란, 보수 문화, 정부 개입, 영화와 관계없는 시상자 등 크고 작은 논란의 중심에 서 왔다. 위기 해결을 위해 대종상영화제는 추진위원회를 발족, 혁신을 시작했다. 가장 큰 변화는 OTT 부문 신설.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상, 여우상 총 4개 부문밖에 되지 않지만, OTT 콘텐츠를 정식으로 인정하며 변화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개최된 제59회 대종상영화제 OTT 부문 최고상은 디즈니+ <무빙>에 돌아갔다. <무빙>은 최고상 격인 작품상과 여우상(한효주)을 차지했다. 감독상과 남우상은 디즈니+의 또 다른 효자 콘텐츠인 <카지노>가 차지했다. 제59회 대종상영화제 OTT 부문을 휩쓴 두 작품은 넷플릭스 <더 글로리>, <D.P. 2>, <마스크걸>, 웨이브 <박하경 여행기>, 티빙 <몸값> 등 쟁쟁한 작품들을 제치고 디즈니+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23하반기총결산1 3
사진=티빙, 웨이브

◆ 티빙-웨이브 합병, ‘공룡’ 넷플릭스 독주 막을까

지난 4일 국내 OTT 플랫폼인 티빙의 최대 주주 CJ ENM과 웨이브의 최대 주주 SK스퀘어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합병을 위한 첫발을 뗐다. 막강한 자본력을 갖춘 넷플릭스와 디즈니+ 등 글로벌 OTT와 토종 OTT 중 1위로 올라선 쿠팡플레이의 공세에 맞서 국내 최고 OTT의 탄생을 알린 것.

현재 티빙은 월간활성이용자수(MAU) 510만 명, 웨이브는 423만 명을 기록 중이다. OTT 플랫폼 중 넷플릭스와 쿠팡플레이에 이어 3, 4위를 차지하고 있는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에 성공하게 된다면 최대 900만 명(중복 가입자 포함)의 대형 OTT가 되는 것. MAU 900만 명은 토종 1위인 쿠팡플레이의 MAU 527만 명을 훌쩍 넘어서는 수치로, 두 플랫폼이 하나가 된다면 토종 OTT 중 1위 자리는 따 놓은 당상이다.

스트림플레이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두 플랫폼의 합병 소식에 구독자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냈다. 그동안 지상파 3사 콘텐츠를 시청하려면 웨이브를, 케이블 채널의 콘텐츠를 보기 위해선 티빙을 구독해야 했지만, 두 플랫폼이 통합될 경우 하나의 구독료로 TV 콘텐츠 대부분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 또한 그동안 발끝에도 미치지 못했던 ‘글로벌 공룡’ 넷플릭스와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를 모았다.

다만 아직 갈 길은 멀다. 실사 및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가 첫 번째 관문. 지난해 합병에 성공한 티빙과 시즌의 경우 두 플랫폼의 합산 점유율이 18%로 합병이 이뤄져도 점유율 1위인 넷플릭스(38.2%)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수치였기에 쉽게 합병 승인이 떨어졌지만 양사의 점유율이 높아진 지금, 합병할 경우 시장의 판도가 크게 뒤바뀔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티빙과 웨이브의 합산 점유율은 32%에 달한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