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토종 OTT 경쟁서 밀려난 LG유플러스, OTT 대신 'TV' 무기로 삼아
무료 콘텐츠 서비스 FAST에 이어 'OTT TV' 유플러스TV 넥스트 출시 예정
美 중심으로 급성장하는 FAST 시장, OTT 플랫폼 '대항마' 될 수 있을까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인터넷
1분기까지만 해도 적자였던 SLL, 흥행작 줄줄이 쏟아내며 흑자 전환 성공
'동시 방영'으로 수익성 개선 도모, OTT 플랫폼과 계약 확정 지은 이후 TV 편성
오리지널 콘텐츠 들고 해외 시장 문 직접 두드려 '추가 수익' 꾀한다?
사진=SLL
중앙일보 산하 OTT 콘텐
햇반 마진율 협상 불발에서 시작된 CJ-쿠팡의 지긋지긋한 악연
쿠팡 'CJ올리브영 갑질' 공정위 신고, 뷰티업계까지 번진 '견제'의 불길
쿠팡플레이 주요 무기 '스포츠 중계' 두고 또다시 벌어진 토종 OTT 1위 경쟁
'유통업계 공룡'으로 꼽히는 쿠팡과 CJ그룹 간 갈등이 유통업계 외로도 번져가는 양상이다.
SAG-AFTRA 본격 파업 선언, WGA와 63년 만에 '동반 파업' 돌입
불만의 핵심은 '재상영분배금', OTT 열풍 이후 신디케이션 수익 감소해
지난 5월부터 시작된 WGA 파업, 한국 비롯한 전 세계 창작진 '지지 시위'
배우조합과 작가조합의 뉴욕 공동 시위 현장/사진=배우조합 페이스북
넷플릭스·디즈니+가 몰고온 '시즌제 콘텐츠' 붐, 흥행 IP 재활용 사례 급증
'길고 탄탄한 서사' 찾는 소비자, 분량만 길게 늘인 '가짜' 후속작으론 안 된다
수익성·안정성 중시하는 투자자들, '시즌1' 흥행하면 '시즌2' 투자 따라붙어
사진=pexels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
팬덤 두터운 스포츠 콘텐츠 강화하는 쿠팡플레이, 중계부터 관람권 판매까지
호불호 적고 중도 해지 어려운 스포츠 콘텐츠, 쌓이는 충성 '팬덤' 고객
스포츠 중계 '가성비'에 경쟁 거세지는 시장, '가성비' 앞세운 전략 성공가도 이어갈까
사진=쿠팡플레이
국내 토종 OTT 플랫폼이 '적자의 늪'에서 허우적대
넷플릭스, 후속작 통한 창작자 보상 강화·인재 양성 등 투자금 활용 방향성 언급
넷플릭스의 25억 달러 규모 K-콘텐츠 투자, '가성비' 흥행작 IP 싹쓸이 노렸다?
망 사용료 분쟁·법인세 납부 회피 등 논란 여전, 오히려 국내 시장 위축될 위험도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공동 CEO/사진=넷플릭스